2050년 10명 중 1명 이상 당뇨병 추정, 혈당 조절이 당뇨병 예방·관리의 최선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보건계량분석연구소 연구팀은 국제 유명 학술지인 ‘란셋’을 통해 2050년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13억 명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수치는 현재 당뇨병 환자 수의 두 배이다. 유엔이 발표한 전 세계 인구 추이를 보면 현재 인구가 80억 명을 넘어섰고 2050년에는 97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이 되면 전 세계 인구 10명 중 1명 이상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1990부터 2021년까지 세계질병부담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세계 당뇨병 환자의 유병률을 종합 분석했으며 전 세계 당뇨병 유병률이 현재 6.1%에서 9.8%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당뇨병을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혈당 조절이다. 우리 몸은 생명 유지를 위해 공급과 소비의 균형을 맞춰 몸속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혈액 속 포도당인 ‘혈당’ 역시 마찬가지다.
정상의 경우 식전 혈당 100mg/dL 미만을 유지하다가 식후에는 20∼60mg/dL 정도 상승해 140mg/dL 미만을 유지한다. 그러나 불규칙한 식사, 과식, 당이 많은 음식 섭취, 수면 및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여러 원인으로 식후 급격하게 혈당이 상승했다가 내렸다가를 반복하게 되면 혈당 변동 그래프가 뾰족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를 ‘혈당 스파이크’라고 한다.
쉽게 말해 혈당 변동성이 큰 경우로 혈당이 급격하게 오른 만큼 우리 몸은 제자리에 가기 위해 췌장의 노동력이 증가하게 되고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지면 췌장 기능이 떨어져 당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당뇨병이나 심·뇌혈관질환, 미세혈관질환, 신기능 저하 등 당뇨병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소 안정적인 혈당 관리는 건강관리에 필수요소이다.
대동병원 내분비내과 조아라 과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인의 혈당이 정상이라고 생각해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라며 “식후 30분부터 2시간 이내에 다른 사람보다 피로감을 많이 느끼거나 집중력 저하, 허기짐, 갈증, 어지럼증 등을 느낀다면 혈당 스파이크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혈당 스파이크는 식후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혈당이므로 공복 상태의 기본 혈액 검사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혈액 검사 시 당화혈색소 검사를 같이 시행해 2∼3개월 평균 혈당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혈당 스파이크 예방을 위해서는 일정한 양을 규칙적인 시간에 먹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며 식사 시 단백질, 식이섬유 등 탄수화물 외 제품군을 먼저 섭취한 후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쌀밥, 도넛, 떡, 라면 등 혈당지수(Glcemic Index)가 높은 음식은 피하며 여름철 많이 섭취하는 과일은 대부분 단순당으로 식후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므로 혈당지수가 낮더라도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 앉아있게 되면 혈당이 상승하므로 최소 10분 정도는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근육은 포도당을 저장하고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혈당이 올라가는 것을 막는 보호막 기능을 하므로 본인 체력에 맞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해 노화 등으로 오는 근육 저하를 예방해야 한다.
한편 대동병원은 지난해부터 본관 2층 내분비내과 외래에 당뇨교육실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의사, 간호사, 영양사 등 당뇨병 교육자 자격증을 소지한 의료진으로 구성된 당뇨교육팀이 전문적인 당뇨병 치료 및 교육을 진행한다.
당뇨병이란
당노병(糖尿病)은 혈당(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가 정상보다 높게 유지되는 상태인 만성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주로 1형, 2형, 그리고 임신성 당뇨병 등으로 분류됩니다. 병의 원인과 치료법에 따라 당뇨병의 종류가 결정됩니다.
1형 당뇨병: 1형 당뇨병은 주로 신체 면역 시스템이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 베타세포를 공격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인슐린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하게 되며, 이를 외부에서 인슐린을 주입해야 합니다.
2형 당뇨병: 2형 당뇨병은 당뇨병의 약 90%를 차지하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즉, 간, 근육, 지방 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저하되어 혈당 조절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생활습관 개선, 운동, 식이요법 등을 통한 치료가 주로 이루어집니다.
임신성 당뇨병: 임신 중에 발생하는 당뇨병으로, 임신 기간 동안만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임신부의 증가된 호르몬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출산 후 대부분의 경우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갑니다.
당뇨병은 조기 발견 및 관리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혈당 관리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만일 당뇨병이 의심되면 전문의와 상담하고 꾸준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여성한의사회, 재능기부를 통한 아름다운 동행 (0) | 2023.07.13 |
---|---|
대동병원, ‘2023년도 보건복지부 전공의 수련환경평가’ 실시 (0) | 2023.07.05 |
대동병원, 이유 없는 어지러움, 빈혈 느꼈다면 참지 마세요! (0) | 2023.05.06 |
무섭지만 꼭 가야만 하는 치과! 1위 질환은? (0) | 2023.04.17 |
최첨단 4세대 다빈치 로봇 수술 시스템 (1) | 2023.04.15 |
댓글